L i v i n g R e m i n d e r 2016. 9. 9. 17:10


사도바울은 서로 용납하기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디도를 통해 고린도 교인들의 소식을 듣고 위로를 받습니다. 바울은 이전의 엄중한 편지로 인해 근심하였으나, 고린도 교인들이 이 편지를 통해 바울의 권고를 받아들이고 변화하였다는 것으로 큰 위로를 받고 기뻐합니다.


공동체를 통해 주시는 하나님의 위로
위로(4,7,13)

위로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것이지만, 성도와 공동체를 통해 얻게 됩니다. 사도 바울은 디도를 통해서 고린도 교인들이 사도 바울을 사랑하고 그의 가르침을 수용했다는 소식을 듣고 위로를 받습니다. 그동안 복음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고난도 불편한 관계가 되는 것도 기꺼이 감내하는 바울이었습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위로, 마지막 날에 얻게 될 위로만을 바라보았기에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이 땅에서의 위로도 주어집니다. 신앙이 점점 성숙하는 성도를 보는 기쁨, 관계가 회복되는 감사, 진리의 바른 길로 돌아서는 공동체를 바라보는 보람이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는 공동체 내의 누군가에게 하나님의 위로를 전할 수 있습니다. 다른 지체들에게 골치덩어리가 되지 말고, 하나님의 위로의 통로가 되자.


염려하려면 제대로된 염려를
근심(8,9,10,11)

근심과 걱정을 안할 수 없다면,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을 해야 합니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 교회의 잘못을 지적하는 엄중한 편지를 보내놓고 성도들이 그것을 잘 수용할지 노심초사했습니다. 교회를 향한 바른 진리의 기준을 제시하지만, 관계가 더 힘들어질 가능성을 생각했습니다. 이런 면에서 참 인간적인 면이 느껴집니다. 그러나 결국 고린도 교인들이 이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회개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위로를 받습니다. 올바른 진리를 전하고 근심하고, 상호신뢰를 쌓는 관계를 위해 근심하고, 믿음과 사랑 위에 서는 공동체를 위해 근심해야 합니다. 염려를 떨칠 수 없다면, 차라리 제대로 된 염려를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