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묵상_구약2011. 11. 7. 23:30
시편 37편 4절
또 여호와를 기뻐하라 저가 네 마음의 소원을 이루어 주시리라

하나님을 기뻐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보통 인격적인 대상을 기뻐한다는 표현을 잘 쓰지 않는다. 그래서 하나님을 기뻐한다는 것이 잘 다가오지 않는다. 오히려 만나는 것을 기뻐한다든가 함께 하는 것을 기뻐한다는 표현이 쉽게 이해된다.사람들 중에 애인이나 친구가 바로 그러한 존재들이다.
결국 하나님을 애인으로 친구로 삼아야 하나님을 기뻐할 수 있다. 하나님을 만나는 것이 좋고 하나님과 동행하는 것이 즐겁게 된다. 깊이 사랑하는 것이다. 그럴 때 우리 마음의
소원을 이루실 것이다.

또한 우리는 보통 어떤 것을 하는 것을 기뻐한다. 또한 바라는 것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뻐한다. 이것을 생각해볼 때 하나님을 소원하고 있고 원하고 있어야 하나님을 기뻐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결국 하나님을 기뻐하는 일과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반복되는 말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안에서 기쁨을 찾는 것이다. 세상 다른 곳에서가 아니라 하나님 안에서 찾는 것이다. 하나님과의 교제 가운데, 하나님이 하신 일 가운데, 하나님의 말씀 가운데 기쁨을 누려야 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나병환자의 속죄제사에 관한 본문이다. 나병환자가 7일이 지나고 8일째 되어 완전하게 정하게 되면 제사장 앞으로 나아가 제사를 드리게 된다. 제사는 완전한 회복으로 인한 감사이자 회복의 완성이 된다. 우리의 예배는 감사이자 회복이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오늘 말씀은 의복과 천에 생긴 나병의 처리에 관한 말씀이다. 옷이나 천에 이런 것이 발생하면 부정하니 태워버리라고 말씀하신다. 하나님의 백성의 정결하고 거룩한 삶은 의복에서도 드러나야 한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지 않으시는, 죄에 오염된 옷은 과감히 태워버려야 한다. 하나님의 뜻은 우리가 무엇을 입는가에도 드러나야 한다.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옷입고, 믿음의 전신갑주를 입어야한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계속되는 나병과 피부병을 진단하는 것에 대한 본문이 나온다. 묵상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분명한 메세지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45,46절에 나병환자는 옷을 찢고 스스로를 부정하다 외치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해야했다. 우리는 육체적인 나병은 없을지라도 우리 모두 영적인 나병에 걸린자로 하나님의 임재에서 격리된 채 살아야했다. 그러나 우리를 만지시고 치유하시는 예수님의 은혜로 우리는 하나님을 예배하며 하나님과 동행하며 살게 되었다. 주님 감사합니다. 하나님께 영광 돌리며 살기 원합니다.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예배와 거룩한 삶. 예배는 하늘과 땅이 만나는 사건이자 하나님과 인간이 만나는 놀라운 자리. 회개와 속죄와 감사와 헌신의 자리. 두려움과 눈물과 찬송과 탄성의 자리. 예수 그리스도의 아름다움과 고귀함을 발견하게 되는 곳.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속죄제 희생을 먹지 않지 않은 아론을 모세가 꾸짖자 아론이 대답했다. 속죄제와 번제를 드려도 두 아들이 죽었는데 속죄 제육을 먹으면 여호와께서 어찌 선히 여기시겠는가 라고 말했다. 하나님께서 두 아들을 죽이신 것에 대한 두려움이자 제사의 엄중성에 대한 두려움. 결국 살아계시고 거룩하신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이다. 하나님의 명령을 어겼다는 잘못이 있었지만 하나님에 대한 경외와 자신의 무력함에 대한 겸손한 고백은 좋은 평가를 얻었다. 오늘 하루 하나님께서 이것을 선히 여기시겠는가 라고 물으며 살아가자.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속건제와 관련된 규정이 나오는 부분이다. 속건제는 5:14-26절에 나오는데 여호와의 성물에 대하여 그릇 범과하였을 때 드리는 제사이다. 성소 내지 제사장에게 바친 것을 가로채었을 경우 이를 변상하는 형식으로 갚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본문에게 계속 반복되는 것이지만 '지극히 거룩하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기에 거룩해야 하며, 하나님이 받으시는 것이기에 거룩한 것이다. 하나님이 제정하신 여러 규례들을 잘 따라야 할 것이다. 오늘날 더이상 제사를 드리지는 않지만 우리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나 섬김 더 확장시키면 우리의 삶 까지도 지극히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삶을 향한 하나님의 말씀과 명령 하나하나까지 잘 순종해야 한다. 맡겨진 사역에 있어서 작은 것 하나까지도 소홀하지 말고 거룩하게 여기며 살아가는 하루가 되기를 원한다.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
오늘은 온 회중과 족장이 부지 중에 범한 죄를 깨닫게 될 때에 드리는 속죄제에 대한 말씀이다. 공동체적으로 지은 죄와 공동체의 리더가 범한 죄를 하나님 앞에서 해결해야 한다. 특히 부지 중에 지었다고해서 깨닫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하나님께 가지고 나아가 용서받아야 한다. 우리의 공동체가 부지 중에 범하고 있는 죄는 무엇일까? 리더들이 또한 부지 중에 범하고 있는 죄는 무엇일까?
Posted by L i v i n g R e m i n d e r